엑셀기초기능 썸네일형 리스트형 엑셀 틀 고정 활용 엑셀의 틀 고정 기능엑셀의 최대 행 수는 1,048,576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는 보통 1,000 줄이 넘어간다. 컬럼도 수십 개로 이루어진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틀 고정을 활용하면 데이터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틀고정은 보기 -> 틀 고정 -> 틀 고정 메뉴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틀 고정의 옵션틀 고정의 옵션에는 첫 행 고정, 첫 열 고정 등이 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고, 선택된 셀 기준으로 틀고정이 되는 기본적인 틀 고정 옵션을 사용한다. 틀 고정을 하면, 선택된 셀을 기준으로 아래 그림 2와 같이 위쪽행, 왼쪽열이 기준이 되어 틀 고정이 된다.틀 고정을 한 후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틀 고정이 된 위쪽행의 데이터는 고정된 채로 아래쪽 데이터가 나온다. 스크롤을 오른쪽으로 .. 더보기 엑셀 시트 보호 활용과 응용 엑셀의 시트 보호 기능엑셀 파일을 완성한 뒤에 다른 사람이 파일을 볼 수는 있지만 편집은 하지 못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때 보통 사용하는 기능이 시트 보호 기능이다. 시트보호 기능은 아래 그림 1과 같이 검토 -> 시트보호 메뉴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시트보호 메뉴를 활성화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확인을 눌러서 시트가 보호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시트가 보호된 상태에서 셀을 클릭하거나 편집하려고 하면 아래 그림 2와 같이 시트가 보호돼서 편집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뜬다. 엑셀 시트 보호 기능 응용단순히 시트에 데이터 입력을 막는 기능처럼 보이는 이 기능은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각 셀을 우클릭하면 아래 그림 3과 같이 셀서식-> 보호에서 각 셀별로 보호할 셀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 더보기 엑셀 색깔 뽑아내기(스포이트 기능 활용) 파워포인트의 스포이트 기능스포이트 기능의 활용웹서핑을 하다 보면 좋은 색깔이 있는데,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에서 표준색의 비슷한 색깔을 선택하면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워포인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미묘한 색깔 구현을 위해서 스포이트 기능을 만들어 놨다. 먼저, 파워포인트를 켜서 먼저 캡처 도구를 통해서 이미지를 피피티 시트에 붙인다.그리고 내가 색을 채우고 싶은 부분을 선택해서 도형 채우기 -> 스포이트를 클릭한다. 커서가 스포이트 모양으로 바뀐 것을 확인한 뒤 색을 복사할 부분을 클릭하면 내가 캡처한 부분과 동일한 색깔을 도형에 적용할 수 있다. 윤곽선, 표 색깔 등도 스포이트 기능을 활용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색을 채울 수 있다.색의 RGB값 확인컴퓨터에 나오는 대부분의 색깔은 RGB 코드로.. 더보기 엑셀 표 그리기 및 활용 엑셀의 표 설정 기능 활용엑셀은 작업시트 자체가 표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아래 그림 1과 같이 범위를 지정하고, 삽입 -> 표 버튼만 눌러주면 손쉽게 표를 만들 수 있다. 특정한 범위에 대해서 표를 설정하면 아래 세 가지 장점 외에도 다양한 장점이 있다. 자동 범위 확장표를 설정하면, 표의 아래쪽이나 오른쪽에 데이터를 붙여서 작성하기만해도 범위가 동적으로 확장된다. 아래 그림 2와 같이 20행까지 존재하는 표에서 B21셀에 데이터를 입력만해줘도 표의 범위가 21행까지 늘어나는 것이다. 표를 참조하는 수식이 있다면, 참조하는 범위가 자동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데이터 참조의 용이성표를 설정하면 표에는 고유한 이름이 지정되며, 이를 사용하여 다른 위치에서 데이터를 쉽게 참조할 수 있다. 아래 그림 3과 같이 .. 더보기 엑셀 데이터 전처리: 중복 제거와 조건부 서식 데이터 중복제거 각종 기초데이터를 받아서 작업을 하다 보면, 데이터 안에서 중복된 부분을 제거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대상이 되는 영역을 선택하고, 데이터 -> 데이터도구-> "중복된 항목 제거" 기능을 사용하면 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보통의 엑셀 데이터는 그림 2와 같이 가로 x 세로로 정보를 쭉 펼쳐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아래 그림 2와 같이 BGF라는 종목명이 중복되는 상황이라면, 중복이 되는 7행의 데이터 전부를 삭제해 주어야 한다.이 때 특별히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는 "종목명" 컬럼인 B열만 선택해서 "중복된 항목 제거" 기능을 선택하면, 아래 그림 3과 같이 자동적으로 선택영역을 확장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메뉴가 뜬다. 중복 값 제거 옵.. 더보기 데이터 유효성 검사기능 활용: 목록 만들기 데이터 유효성 검사의 기능엑셀에서는 데이터 유효성 검사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래 그림 1과 같이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클릭하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이 데이터 유효성 검사는 특정 셀에 입력되는 값을 제한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기능이다. 아래 그림 2 왼쪽과 같이 셀 A1을 클릭하고, 유효성 조건을 10보다 큰 정수로 설정을 해 보자. 그 뒤 A1셀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값인 "숫자구"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 2의 오른쪽과 같이 유효성 조건 때문에 입력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뜬다. 10보다 큰 정수 이외에 다른 값은 입력이 제한되는 것이다.목록 만들기실무에서는 보통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목록 만드는 용도로 사용한다. 아래 그림 3의 왼쪽과 같이 제한대상을 "목록"으로 설정하고, 원본에 목록.. 더보기 엑셀 차트 그리기 기초 엑셀 차트 생성하기엑셀 차트는 삽입 -> 차트 메뉴를 통해서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차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투자 목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할 때는 시계열 분석이 많으므로 꺾은선형 차트를 주로 선택한다. 차트를 만들면 아래와 같이 빈 네모 박스가 생기는데, 이 박스에 데이터를 먼저 채운 뒤 부수적인 요소를 붙이는 개념으로 차트를 만들어 나가면 된다. 위 그림 1에서 처럼 빈 박스를 우클릭해서 "데이터 선택"을 누르면 채워 넣을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차트 데이터 설정 KRX 정보데이터시스템(http://data.krx.co.kr)에서 지수-> 주가지수-> 개별지수 시세추이를 통해서 코스피 지수 등의 시계열 자료를 받을 수 있고, 주식-> 종목시세 -> 개별종목 시세추이를 통해서 개별종목의 시계열 자료.. 더보기 엑셀 파워쿼리를 통한 웹 데이터 불러오기 엑셀 파워 쿼리(Power Query) 기능엑셀에서는 파워 쿼리 기능을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변환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파워쿼리 기능의 큰 장점 중 하나는 CSV, XML, PDF 등 파일형식을 가리지 않고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SQL 서버, AZURE 클라우드 서버, 웹 데이터 등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가리지 않고 데이터에 접근만 가능하다면 엑셀 파일에 데이터를 쉽게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네이버금융 현재가 불러오기 : 파워쿼리 웹데이터 입수네이버 금융(https://finance.naver.com/sise/sise_quant.naver)에서 보여주는 거래량 상위 100 개 종목의 정보를 엑셀의 파워쿼리 기능을 통해서 가져오는 .. 더보기 이전 1 2 다음